group project : Alternative Use project 1 ;  Test pattern
November 2, 2016 [18:00 – 20:00]
서교 민영주차장 Seogyo Private Parking Lot, Seoul

@alternative_use
https://www.facebook.com/alternativeuse

그룹 프로젝트 __ Team O (김주은, 민수진, 박선희, 박영지, 에이;롱)

보통의 주차장이 대개 그러하듯, 목적지로서의 장소로 자리한다기보다는 목적지로 설정된 특정 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한 수단으로 기능한다. 때문에 매일 수십 대의 차량이 밀물처럼 밀려오고 썰물처럼 빠져나가는 반복적이고 무심한 매커니즘은 이 곳에선 응당 자연스러운 풍경이다.
Team O 는 이처럼 항시 로딩 중의 상태로 정지해 있는, 그리고 경유지로서의 존재 가치가 가장 우선시되는 이 공간에 작은 전복을 꾀한다. 작업에 뜻을 두고 있으나 막 대학을 졸업한 우리들에게 합리적인 전시 공간을 빌리는 일은 생각보다 여의치 않았다. 결국 우리는 주차한 시간 단위로 요금을 지불하면 손쉽게 빌릴 수 있는 이 시간제 요금 주차장에 주목했고, 본래의 용도로부터 이탈시켜 작업 공간으로의 재위치화를 시도한다.

Group Project __ Team O :  A-rong Oh / Jueun Kim / Soojin Min / Seonhee Park / Youngji Park

Alternative Use project started with the struggle to find appropriate space to show new works just after graduating out of college. Accordingly, we attended to public parking lots that are relatively easy to rent. We are to design an activity or event to specifically take place both within that allotted area and time slot. Deviating from its original use, parking, we challenge ourselves as performative practitioners, as well as active cityscape consumers. 

Test pattern
2016, Translucent film, aluminum profile, dancers
200 x 400 x 200 cm

Performance inside the installation during the parking allotted time slot (120min.)

수정.jpg

DSC09093.jpg

 
PM5544_with_non-PAL_signals.png
 

DSC09068.jpg
DSC09272.jpg
DSC09265.jpg
수정 2.jpg

용도변경전 project. 1 ; Test Pattern
2016, 반투명 필름, 알루미늄 프로파일, 댄서 4명
200 x 400 x 200 cm

설치 작업 안에서 퍼포먼스 (120min.)

홍대서교민영 주차장 (서울 마포구 서교동 360-15)
2016. 11. 2 수 18:00 – 20:00

첫 번째 프로젝트로 홍익대학교 옆 야구 연습장 아래에 위치한 서교민영 주차장에서 시작한다.

컬러바 Color Bar

11월의 저녁은 꽤 어둑하다. 오후 6시 무렵 이 주차장 한 켠에 사뭇 이질적인 형상의 박스형 알루미늄 구조체가 주차된다. 주차 공간 한 칸을 정확히 꽉 채운 박스 내부에서는 텔레비전 화질 조정용 테스트 패턴 (test pattern), 속칭 컬러바(color bar) 로 불리우는 영상이 외벽을 구성하는 반투명 비닐을 비집고 나와 박스 외부로 투사된다. 이에 구색을 맞추듯 ‘삐-’ 하는 신경질적인 신호음(1kHz의 테스트 톤)은 전시가 진행되는 두시간 동안 희미하게 귓가를 자극한다.
컬러바는 2000년대 이전 프로그램 개시에 앞서 수상기 조정용으로 방송된 특정한 고정 화면으로, 이제 과거의 유물로 전락해버린 이 시청각적 기표는 돌연 우리에게 어렴풋한 향수마저 불러일으킨다. 텔레비전을 켜둔 채 잠든 새벽, 살풋 눈을 떴을 때 침묵과 어둠 속에서 확산되는 끈질긴 성가심의 기억을 예로 들면 적절할까. 더 볼만한 구경거리, 혹은 남은 프로그램이 없다는 사실은 일련의 허무함의 정서를 환기시키며, 리모컨의 빨간 버튼으로 하여금 우리를 완벽한 적막의 시공간으로 인도한다. 그러나 이 화면이 단지 ‘종료’의 의미로만 고정되어 읽히는가?

수행적 움직임

네명의 퍼포머들은 마치 유령과 같은 형상으로 어슴푸레 부유한다. 이들은 벽에 제 몸을 기민한 모양새로 달싹 붙여 놓는가 하면, 이내 자세를 바꿔 불편하고 기이해 보이는 부동자세를 한참 유지한다. 또는 발이나 손을 반복적으로 까딱이는 분열적 움직임을 반복하기도 한다. 움직임은 비계획적이고 비정형적이며, 유기적으로 보이는 동시에 서로 완벽히 분리되어 있다. 생경한 이미지에 행인들은 잠시 발길을 멈춰 시선을 고정시키기도 하지만, 곧 다시 제 갈길을 재촉한다. 결국 이 광경은 화면 조정 시간의 컬러바와 마찬가지로, 유희성 짙은 프로그램이나 스펙타클로써 소비되지 못하고 관람자의 시선에 온전히 포섭되는 것에 실패한다.
이로서 주차장은 일시적인 혼종 공간으로 확장된다. 이는 평평한 일상에 대한 유쾌한 저항인 동시에, 갓 졸업한 젊은 작가들의 자조 섞인 시험방송인 셈이다. 화면 조정 시간을 거치면 정규 방송이 시작된다. 그리고 모든 채널은 이러한 인과적 관계를 쉼없이 반복한다.

The first project begins at Seogyo Private Parking Lot, located under the batting cage next to Hongik University.

Test Pattern (Color Bar)

The grating tone (1kHz) spread throughout the whole performance with color bars. A test pattern, also known as a test card or start-up/closedown test typically contains a set of patterns to enable television cameras and receivers to be adjusted to show the picture correctly. Used until the 20th century, this audiovisual symbol, a holdover from a couple of decades ago, arouse nostalgia. The graphic indicating no more programs left to watch brings a dim and lethargic feeling. Remote control’s red button leads us to complete silence. Our days used to fade out with the psychedelic screen.

Performative Shadows

Four dancers float alongside four walls disguised as ghosts. We change our postures into uncomfortable and eccentric immobility. Otherwise, we repeat segmental movements through constantly bobbing our feet or hands. Those motions are erratic, aberrant but quite systemic in some ways. The theatrical scene grasps passengers' attention for a while, but not for long. People soon carry on their way. Eventually, this stage set fails to grab (tele-)viewers’ sight and to be consumed as a spectacle in which suggest flooding entertainments. The parking lot expands into a temporary compound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