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mental project
April 2 -27, 2017
Dangsan Hyundai Apt, Seoul
In collaboration with Saebom Yang
Dangsan Hyundai Apt. which is now Dangsan Central IPARK Apt.
2017, Foam board, translucent film
Site-responsive installation
Documentary video 2min 54sec
<당산 현대아파트>(2017)는 도로 건너편에서 진행되는 재건축을 바라보는 하나의 임시적 프레임으로 작동한다. 창을 통해 밖을 바라보면, 이 순간 내가 서 있는 자리 아래에서 이미 형성되고 있는 미래의 풍경이 펼쳐진다. 이 구조물은 시간의 거울이 되어, 피할 수 없는 변화를 비추는 동시에 현재라는 순간을 담아낸다.
2019년 9월 기준, 이곳은 2020년 5월 준공 예정으로 공식 등록되었다. 서울 지하철 2호선과 9호선이 교차하는 교통 요충지인 당산은 2017년 다수의 대형 아파트 단지가 재건축되며 빠르게 변모하고 있었다. 철거를 불과 몇 주 앞두고, 새봄과 나는 2동 802호 내부로 들어가 공간을 기록하고 조각적 프레임을 만들었다. 거의 모든 세대는 이미 비어 있었고, 이곳은 한국의 오래된 아파트 실내 인테리어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었다. 시간의 흔적이 쌓인 이 공간은 마치 과거를 환기하는 폐허 같았지만, 동시에 완전히 새롭게 재건될 이미지를 품고 있었다. 이곳은 사라져가는 동시에 또 다른 형태로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행복한 상상 imagine IPARK” Dangsan Central IPARK
“Prestige of Life 롯데캐슬” Dangsan Lotte Castle Prestige
“EXPERIENCE of PRIDE 래미안” Dangsan Samsung Raemian
Dangsan Hyundai Apt. serves as a temporary frame through which to observe the reconstruction unfolding across the street. Gazing outward, one encounters a vision of an impending future—one that is already taking shape beneath our feet. The structure becomes a mirror of time, reflecting both the inevitable transformation and the present moment in which we stand.
As of September 2019, the site was officially registered for completion in May 2020. Dangsan, a key transit hub where Seoul Metro lines 2 and 9 intersect, was undergoing rapid redevelopment in 2017, with multiple major apartment complexes being reconstructed. Just weeks before its demolition, Saebom and I spent time inside Unit #802, Apt.2, navigating its interior to document and create sculptural frames. Nearly all the units were already vacant, and this space remained a preserved fragment of an older era of Korean apartment interiors. Time had accumulated within its walls, making it feel like a ruin—an echo of the past—yet at the same time, the space held within it the potential for reconstruction, embodying both what was and what could 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