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o-person show : Around the Lake
November 23 — 25, 2019
Presidential Towers, Chicago
@michigan_hosoo research archives
《 Around the Lake 》는 거시적이고 미시적인 관점에서 미시간 호수와 우리의 일상생활을 함께 인식해 보는 리서치 기반 프로젝트이다. 박선희, 양새봄 2명의 작가가 함께 생활하는 개인적인 공간으로 호수를 끌어들여 살펴보고 주변 지인들을 초대하여 함께 생각을 공유하고 확장한다.
《Around the Lake》 is a research-based project that aims to explore and recognize Lake Michigan and our daily lives together from macro and micro perspectives. It draws the lake into personal space where two artists reside, inviting friends to share and expand thoughts together.
Walk along the System
2019, 1/2 inch copper pipe, flat copper-bonded bracket, furniture objects, submersible water pump, brita, humidifier
dimensions variable
In collaboration with Saebom Yang
미시간 호수는 시카고 도시에서 여가와 휴식을 누릴 수 있는 거대한 자연 풍경이며, 식수를 제공하는 자원이기도 하다.
방대한 양의 담수가 개별적으로 분산되어 실내 환경에서의 일상 활동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건축물의 표피 너머 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우리는 깨끗한 표면만을 접할 뿐이다. 이번 협업 <Walk along the System>은 우리가 평상시 인식하지 못하는 삶을 지탱해 주는 기반 시설 네트워크를 시각적으로 노출시키는 시도이다. 관객들은 박선희와 양새봄이 함께 거주하는 공간에 입장하여 그들의 생활품 및 가구들과 그 사이사이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파이프 길을 마주한다. 그 길을 따라 걸어 마지막 지점에 도달하면, 관객들은 들이마시던 공기 또한 거대한 호수의 일부였다는 것을 인지하게 된다.
Lake Michigan is an enormous nature that adds meaning to scenery and leisure in Chicago city. Furthermore, it serves as a vital source of drinking water.
The immense volume of freshwater is distributed into individual units, facilitating daily activities within interior settings. However, this entire system operates hidden beneath the surface of structures, with our access limited to its clean exterior. Through collaborative installation, <Walk along the System> visually exposes the network that typically escapes our awareness.
Following the perimeter as they enter the room, visitors encounter an intimate intersection of pipes and everyday objects that sustain our daily lives. At the very end of the walk, they realize that the air they’ve been breathing in is also a part of the great lake.
Ghost Perimeter
2019, baseboard of the room, print on paper, walkers with own camera lens and screen
dimensions variable
미시간 호수는 맛보지 않고 오직 파도치는 모습만으로는 바다로 착각하기 쉽다. 그만큼 광활한 면적으로 뻗어 있지만, 개인적으로 시카고 도시의 동쪽을 경계 짓는 얇은 선으로 감각하게 된다. 호수는 우리의 시야를 가로지르며 수평적 경계로 작동한다. 또 닿을 수 없는 거리 저 멀리서 일렁거리는 수평선은 환영의 장소이다.
<Ghost Perimeter>는 관객들에게 본인의 스마트폰 렌즈로 파노라마 패턴을 담아보길 권한다. 디지털 화면을 통해 접근한 픽셀 이미지의 평면성을 관객과 함께 체험해 본다. 걸레받이는 방 가장자리/주변부에 머물러 있지만, 또 동시에 공간 전체를 둘러싸는 틀이다. 이 구석 얇은 면적에 입혀진 미세 패턴을 통하여 미시간 호 수평선의 경계적, 환영적 속성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Just by looking at its rippling waves, you could easily get confused whether it’s a lake or a sea until you actually taste it. Lake Michigan extends over a vast expanse, yet to me, it appears as a slender line marking the eastern perimeter of Chicago. The lake serves as a horizontal border, slicing straight through our vision. Staying only at an unreachable distance, the horizon is an illusionary realm.
By encouraging viewers to frame the panoramic patterns with own digital lenses, <Ghost Perimeter> explores the flatness of pixelated images accessed through virtual screens. The patterned layers applied to the showroom’s baseboard emphasize the intermediary element normally relegated to our periphery, yet which also encompasses the entire space.